2017년 10월 28일 토요일

겨우 12만원, 아이폰8 보조금에서 드러난 통신사의 민낯


서커스를 위해 오랫동안 줄에 묶여 있던 아기 코끼리는 시간이 지나 줄을 풀어줘도 좀처럼 원래 줄이 있었던 때 갈 수 있었던 범위 이상으로 나갈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이미 마음속에 오랫동안 자신의 영역이 정해져 있음을 새겨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신사들은 스스로 ‘정부 탓’이라고 주장했던 공식 지원금의 상한액이 폐지되었음에도 오히려 모순되는 행동을 드러내면서 스스로의 민낯을 제대로 드러내고 있다. 지난 9월 말부터 공식적으로 사라진 지원금 상한제도는 마치 족쇄가 풀린 것처럼 이통 시장에 돌풍을 일으킬 것이라 기대하게 만들었지만 현실은 전혀 달랐다.




   

상한제가 폐지된 지 한 달 가량 지났지만 이전까지 족쇄처럼 채워졌던 지원금 상한액을 넘어선 스마트폰은 단 한 종에 불과했다. 즉, 소비자들은 상한액 폐지로 인한 혜택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소비자들의 관심이 크게 집중되는 아이폰 판매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아이폰8 시리즈를 위한 공식 지원금 최대 금액이 겨우 122,000원에 그치기 때문이다. 그마저도 11만원 요금제에 해당되는 보조금이 이렇다.




지난 9월, 아이폰이 공개된 이후 드디어 한국에서도 아이폰8의 출시를 알렸지만 반응은 반신반의하는 모습이다.

우선, 아이폰7 시리즈와 큰 차이가 없다는 시각과 함께 아이폰X에 관심이 쏠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폰은 여전히 출시 이후 천만대 이상 판매되며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인기 있는 스마트폰이다.




이러한 아이폰이라면 통신사들은 나서서라도 경쟁을 하고 저마다 소비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줘서라도 고객 유치를 해야 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는 아이폰에 정작 통신사들은 관심이 없다는 반응만 보일 뿐이다.

왜일까? 우선,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아이폰의 충성 고객이 많다는 점이 그 첫 번째 이유가 된다. 아이폰은 보조금이 어떻든 초기에 구매가 몰리기 때문에 통신사들이 굳이 과도한 마케팅을 하지 않더라도 가만히 앉아서 소비자들이 찾아오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경쟁에서 얻는 것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애플은 공식적으로 제조사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통신사가 내세우는 공식 지원금은 오롯이 통신사의 지출이 된다. 결국 보조금 경쟁을 하면 할수록 통신사들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이 커진다는 말이 된다.

결국 여러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아이폰은 인기 속에서도 외면받는 비운의 폰이 되고 말았다. 즉, 소비자들만 피해를 보고 손해를 본다는 뜻이다.




당연하게도 공식 지원금이 짜게 나오면 나올수록 선택 약정 요금 할인 제도를 통한 스마트폰 구매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현재도 대다수에 해당하는 선택 약정 요금 할인 제도 소비자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유라면 단연 혜택의 차이가 있다. 공식 지원금은 최대 12만원 정도에 그치지만, 선택 약정 요금 할인을 통한 구매를 할 경우에는 11만원 요금제 기준, 24개월간 최대 66만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으로 선택하는 5~6만원대 요금제를 선택하더라도 30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서는 당연히 후자를 선택하는 것이 정답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 경우 모든 할인 혜택은 통신사의 지출에서만 발생된다는 점이다.

즉, 통신사의 지출로 소비자들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인데, 아이폰의 경우 선택 약정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더 많으니 결국 애플이 최대 수혜자라는 논리가 나오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애플이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고 충성 고객을 만든 결과이지 애플이 의도했다거나 원해서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통신사들이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면 다른 통신사 대신 아이폰을 개통하려는 소비자들은 모두 해당 통신사를 선택하는 것도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당장 다른 통신사 대비 같은 요즘제에서 데이터를 20~30%만 더 주더라도 소비자들의 선택은 많은 부분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9월 말을 기점으로, 통신사는 공식적인 제한선 없이 무한대의 공식 지원금을 책정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간과한 사실이라면, 보조금을 ‘공시’해야 하고, ‘유지’해야 한다는 조항은 여전하다는 점이다.

즉, 이번 개정안에서 빠진 부분이 뼈아프다는 사실이다. 통신사는 여전히 아이폰에 50만원에 달하는 큰 보조금을 지급하려 하더라도, 그것을 미리 공시해야 하고, 전국의 모든 대리점과 판매점에도 동일한 정책으로 판매를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이 유지되는 한, 통신사는 섣불리 보조금을 높이려 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자신의 패를 모두 내어주고,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하는 표를 내놓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신 시장도 자율에 맡길 필요가 있다.

공시 제도를 폐지하고, 순수하게 시장의 경제 논리에 맡기는 것이다. 그렇게 해야만 소비자들은 발품을 팔아서라도 더 혜택이 좋은 곳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고 자연스러운 경쟁 아래서 합리적인 시장 가격이 도출되게 될 것이다.



 
스마트폰은 이미 자율 시장 경쟁 속에서 거의 같은 스펙의 폰이라 하더라도 50% 가까이 저렴한 스마트폰까지 등장했을 정도로 치열한 경쟁 속에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달리 통신 시장만큼은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성벽 속에서 자신만의 밥그릇을 지키느라 좀처럼 미래로 나아갈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겨우 12만원이라는 짠 보조금으로 드러난 통신사의 민낯은 그들 스스로가 무엇을 최우선에 두고 있는지를, 무엇보다 암묵적인 담합을 자행하고 있는지를 만천하에 알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 MACGUYVER.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