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26일 토요일

벤드게이트 논란 끝? 아이폰6s 휘어보니, 성인 남성 2명이 꺾어도 ‘멀쩡’


새로운 아이폰6s에 들어가는 7000 시리즈 알루미늄은 이미 M-16이나 K-2 소총의 몸체를 만든다고 할 정도로 단단함에 대해서는 익히 알려져 있는데요.

바로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6가 출시되기 무섭게 벤드게이트 논란에 휘말리면서 이번 아이폰6s에 대한 애플의 관심도 당연히 ‘강도’가 될 수 밖에 없었을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서 무게까지 희생하면서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부분이 엿보였는데요. 그 증거로서 7000 시리즈 알루미늄으로 설명이 되지 않을까요?

아무튼, 백 번 말하는 것 보다는 한 번 보는 것이 낫다고, 동영상을 찾아봤습니다. 아이폰6s를 뜯기 무섭게 휘어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2명의 건장한 남성, 결과는 어떠했을까요?



#1. 아이폰6s 휘어보니, 결과는?
아이폰6s를 제대로 힘을 주어서 휘어봤습니다. 말 그대로 이 제품을 부셔버린다는 각오로 말이죠. 그것도 한 명도 아닌 두 명의 남성이었습니다.

건장한 두 명의 남성이 붙어서 폰을 얼마나 강하게 휘려고 하는지 손목의 핏줄이 터질 듯한 모습이었는데요. 결과는 당연히 ‘휘기는 휘었습니다’ 하지만 의외였는데요.

이정도면 기기가 고장나거나 상당히 꺾일 줄 알았는데, 정상 구동되며 크게 손상이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역시나 7000 시리즈 알루미늄의 효과가 상당한 것 같습니다.

© 사진 인용 : 아이픽스잇
#2. 7000 시리즈 알루미늄은?
6000번대 알루미늄 가운데 매우 강한 재질로 알려진 6013 알루미늄을 갤럭시S6가 적용하면서 이슈가 되기도 했는데요. 6063 알루미늄을 채택한 일반적인 스마트폰보다 훨씬 강한 내구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폰6와 비교할 때 갤럭시S6의 강도는 대략적으로 50% 정도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6013 알루미늄은 비행기의 동체나 요트, 자동차 및 산악 자전거에서도 사용되는 매우 강한 재질이라고 합니다.

   


아이폰6s는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갔습니다. 7000 시리즈는 단순 알루미늄이 아닌, 알루미늄 92.8%에 6.1%의 아연을 혼합한 고강도 알루미늄으로서 일반적인 알루미늄보다도 60% 더 강한 것입니다.

실제로 애플에서도 7000 시리즈 알루미늄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폰이 강도나 내구성에 있어서도 취약하지 않다는 점을 어필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3. 그래도 알루미늄일 뿐?
맞습니다.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입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전체 비율에서 3%에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서 1만가지에 이르는 재질로 변할 수 있는 변신의 귀재입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가격이 비싸지 않습니다. 석유처럼 고갈될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는 구하기 쉬운 재질이라서 대량 생산에 꼭 적합한 재료라는 것입니다.

애플은 이미 알루미늄 장인이라고 할 정도로 알루미늄을 잘 다루는 기업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적용한 7000 시리즈는 사실상 알루미늄 합금 가운데서도 가장 강도가 높은 금속이라는 것이죠.

삼성전자가 노트북 시리즈 9에 적용한 두랄루민과 같으면서도 더 강한 7000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은 무게가 크게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강도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갖도록 해준 일등 공신인 것입니다.


지난해 논란이 되었던 아이폰6 벤드 테스트 영상 ▼


올해 확실히 개선된 아이폰6s 벤드 테스트 영상 ▼

#4. 그러나 이미 휘어 있다?
성인 남성 2명이 아이폰6s를 휘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강한 힘을 줬고 그 결과 아주 약간만 휘어지며, 지난해 완전히 꺾인 것과 비교해서 상당히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이미 휘어 있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기억해야 할 점은 지난해 아이폰6가 논란이 된 것은 바지 뒷주머니에 넣고 앉기만 해도 휘어진다며 일상생활 속에서 휘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 때문이었습니다.

즉, 폰이 휘는지 휘지 않는지가 아닌, 얼마나 ‘쉽게' 휘는지에 대한 논란이었던 것이죠. 동일한 관점에서 본다면 애플의 아이폰은 1년만에 높은 강도를 통해 잘 휘지 않는 폰의 대열에 오른 것입니다.

아무튼 휘기는 휘지만, 이전보다는 더욱 큰 힘을 지속적으로 줘야만 휘게 된다는 것이고, 이것은 아이폰을 더욱 마음 놓고 사용해도 된다는 뜻이 될 것입니다.


지난해 상당히 휘어지는 모습을 보여줬던 아이폰6 ▼

아이폰6s를 휘어보기 위해 성인 남성 2명이 첫 번째 시도를 합니다 ▼

결과는 아주 미세하게 휘었는데요 ▼

그러나 한 번으로는 만족할 수 없겠죠? ▼

다시 한 번 시도합니다 ▼

결과는 조금 '더' 휘었습니다 ▼

그리고 마지막 도전이 시작됩니다. 정말 강하게 휘는데요 ▼


결과, 성인 남성 2명이 3번에 걸쳐서 시도한 모습입니다. 이만하면 나쁘지 않은데요? ▼

#5.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면?
당연하겠지만 사파이어 글라스가 적용되지 않은 액정은 여전히 쉽게 긁히고, 깨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알루미늄이 아무리 강하더라도 반대쪽에는 액정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죠.

이런점에서 드롭 테스트를 빼놓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이어지는 포스트에서 다루겠지만 드롭 테스트에서도 아이폰6s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줬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또한, 강해졌다고 해서 아이폰6s를 뒷주머니에 넣고 앉아도 무사한지 테스트하는 무모함을 보여줄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휘어지면 ‘본인 과실’이기 때문이죠.

더 강해진 아이폰6s, 곧 타 업체들도 따라오겠지만 현재로서는 가장 강한 스마트폰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 같습니다. 무게는 조금 무거워졌지만 말입니다. 조금.. 조금 많이? 20g 정도 말이죠.




Related Posts:

  • Cnet :: 아이폰 충전속도를 높이는 아주 쉬운 방법 사진 인용 : Cnet 아이폰을 사용하다보면 충전속도가 예전만큼 나오지 않아서 답답했던 경험을 간혹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정말 답답하게 충전되는 모습을 지켜봐야만 했는데요.그러나, 그냥 바라보고만 있을 필요 없이 정말 효과적인 아이폰 충전속도 높이는 방법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n-wi… Read More
  • 애플의 요상한 환불 정책, 말도 안되는 5가지 문제점들 애플이 인수한 비츠 일렉트로닉스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한 음악 및 헤드폰 업체입니다. 해외 유명인사들이 자주 찾는 브랜드이기도 한데요.이러한 비츠 일렉트로닉스의 브랜드를 달고 애플에서 수입 및 판매 관리를 하는 모델 중 하나가 문제를 일으키면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n-width: 5… Read More
  • 왜 아이폰에만 통신사 로고가 없는 걸까?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국산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하나같이 스마트폰 뒷면에 박혀있는 통신사 로고 및 알 수 없는 문구들로 인해서 아쉬움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굳이 이렇게 통신사 마크를 넣었어야 하는 의문에서부터 이렇게 크게 넣어야 하는가 하는 의문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죠.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 Read More
  • 아이폰을 집에 놓고 왔다면? 아이패드로 전화 받으면 끝! 새기능 추가 사진 인용 : LWYang 급한 일이 있어서 전화를 해야 하는데, 전화를 집에 놓고 왔다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까지는 너무나도 당연하겠지만 다른 사람의 폰을 빌려야만 했습니다.하지만 이제는 조금 달라진 모습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굳이 아이폰만을 고집하지 않더라도 전화를 하거나 받고, 문자를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 Read More
  • 애플워치 구매자 '놀랍도록 쓸모가 없다' 실망하는 5가지 이유들 사진 인용 : LWYang 포브스의 조사에 의하면 애플워치를 구매한 사용자 가운데 무려 62%가 다른 사람들에게 애플워치를 권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데요.어떻게 해서 이렇게 뜨거운 감자와도 같은 애플워치에 대해서 이렇게 비난적인 이야기가 나오는 것일까요? 당연하겠지만, 정해진 수순인 것 같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 Read More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