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14일 일요일

왜 아이폰에만 통신사 로고가 없는 걸까?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국산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하나같이 스마트폰 뒷면에 박혀있는 통신사 로고 및 알 수 없는 문구들로 인해서 아쉬움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굳이 이렇게 통신사 마크를 넣었어야 하는 의문에서부터 이렇게 크게 넣어야 하는가 하는 의문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죠.


   

이러한 통신사 마크는 과거 피쳐폰 시절부터 지금까지 변함 없이 스마트폰의 앞과 뒤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달리 뒤가 깨끗한 폰이 있습니다. 다름아닌 아이폰인데요. 아이폰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통신사 마크를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요.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그렇다면 왜 아이폰에만 통신사 로고가 없는 것인지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이유는 간단하지만 우선 가장 큰 이유는 애플의 입김 때문입니다.

애플은 제조사로서 유일무이하게 통신사보다 위에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제조사들은 하나같이 통신사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대다수의 나라들에서도 통신사를 통한 스마트폰 판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고, 또한 통신사에서 밀어주는 제품의 인기가 높을 수 밖에 없는데요.

결국 제조사들은 통신사의 요구를 들어줘야만 하는 '을'의 입장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국내 스마트폰들도 피쳐폰시절부터 통신사 로고를 포함해서 통신사 전용 서비스를 내장하기도 했는데요.

통신사가 원한다면 와이파이를 비롯해서 다른 편의 서비스를 막아두기도 하면서 말 그대로 통신사에 휘둘리고 있는 것입니다.

통신사에서 폰을 판매하는 현실에서 통신사를 무시해버린다면 판매는 말 그대로 폭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애플은 달랐습니다. 애플은 자신들이 원하는 조건을 들어줄 단 하나의 통신사만을 원했는데요. 예전에는 나라별로 가장 대표가 되는 통신사를 통해서만 출시가 되었습니다.

하나의 통신사를 선택하면서 애플은 독점적인 지위를 누렸고, 단일 통신사를 통해서 더욱 많은 지원과 서포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결국 아이폰이 있는 통신사가 대박이 나면서 다른 통신사들도 매달리기 시작했고, 이러한 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아이폰에 대한 통신사의 요구는 거의 통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철저하게 통신사가 을이 되고 제조사가 갑이 되었던 것이죠. 이러한 현상은 스마트폰 판매에서도 이어졌습니다.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애플_
아이폰은 계약을 할 때 정해진 수량만큼을 선계약하는데, 만일 10만대라고 계약을 한다면 그 10만대는 모두 통신사가 판매를 책임져야만 했습니다.

또한 가장 낮은 용량도 일정 비율 포함되었기 때문에 특정 제품에 대한 인기가 없더라도 그것은 통신사의 몫인 것이죠.

더구나 제조사 장려금도 별도로 없습니다. 그러니까 오로지 통신사의 보조금만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이폰에는 통신사 전용 앱도, 로고도, 애플의 지원금도 없이 오직 통신사가 '을'이 되어서 모든 것을 해결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삼성전자는 왜 전세계 1위 업체임에도 각 국가별 통신사의 말을 들어주고, 로고를 넣어주는 것일까요?


사진 인용 :  Yanki01

 시작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박리다매와도 같이 삼성전자는 다품종 대량 생산 방식으로 전세계에 각 지역별 특색에 맞는 폰을 공급해왔습니다.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철저한 현지화와 통신사 친화적인 정책이 숨어 있었는데요. 이러한 통신사 친화 정책을 통해서 지금의 삼성 스마트폰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즉, 애플은 통신사들이 찾아오게 만들었지만 삼성전자는 스스로가 영업을 하며 찾아갔던 것입니다. 물론 지금은 처음과 많이 달라졌지만 말이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애플의 아이폰은 철저하게 자신들이 원하는 조건대로 스마트폰을 판매해왔으며, 이러한 전략이 소비자들을 아이폰이 독특한 제품이라고 여기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지금의 애플의 이미지를 만든 것은 애플의 강단이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굽히지 않는 철학으로 누구에게도 굽혀지지 않는 이미지가 된 것은 아닐까 하고 말이죠.



Related Posts:

  • 애플이 애플워치를 두 가지 사이즈로 출시한 3가지 이유 애플워치가 공개된 이후, 많은 스마트워치 제조사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그동안의 스마트워치와 비교가 안되는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출시되었기 때문이죠.당장 애플워치의 판매량을 보자면 아이폰 사용자들이 대거 이동하면서 기존의 스마트워치 시장 자체가 흔들리는 형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n-w… Read More
  • 안드로이드를 따돌릴, 차세대 아이폰이 가진 비장의 카드 7가지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영원한 숙명과도 같은 이 둘의 경쟁은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까요? 칼을 갈고 있는 윈도우의 도전은 또 어떻게 막아낼 수 있을까요?현재까지의 상황만 놓고 보자면 아이폰의 절대적인 승리였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텐데요. .my_adslot { width: 250px; h… Read More
  • 애플뮤직 미국계정으로 3개월 무료 가입 & 한국 음악 듣는 방법 애플뮤직이 전세계 100여개 국가에 상륙했습니다.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국내 음원사들의 외압 때문인지는 몰라도 정식 서비스는 되지 않고 있는데요.애플뮤직 미국계정만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n-width: 500px) { .my_… Read More
  • 이유없이 느려진 아이폰을 다시 빠르게 만드는 방법 사진 인용 : Kārlis Dambrāns 아이폰을 사용하면서 겪는 답답함 가운데 ‘흔히’ 해당되지 않는 것은 느려짐일 것입니다. 안드로이드폰과는 달리 점점 느려지는 일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아이폰도 만능은 아닌데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혹은 사용 패턴에 따라서 점점 느려지는 경우는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Read More
  • 중국서 소송당한 삼성, 지나치게 친절한 '앱' 때문? 삼성전자가 중국서 갖가지 수난을 당하고 있습니다. 점유율은 나날이 떨어져서 불과 1년 사이에 1위에서 5위까지 내려앉았고 신제품의 판매도 신통치 않은데요.여기에, 최근에는 중국에서 소송까지 당하면서 삼성전자로서는 스마트폰 전략을 완전히 새로 짜야 할 것만 같은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 Read More

2 개의 댓글:

익명 :

어찌보면 스티브잡스의 가장 위대한 유산 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죠.
자신의 철학과 고집을 통해 통신사나 타 회사와 전혀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아이폰이라는 역작을 세상에 내놓을 수 있었던 잡스의 원동력이라고나 할까요? ㅎㅎㅎ

익명 :

아이폰은 그 핸드폰 하나로 전세계 어디에서나 개통해서 쓸 수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3사 통신사에서 모두 원하는데로 개통이 가능한 유일한 폰입니다^^
그리고 삼성전자가 1위라는 것은 사실상 거품이지요.
실제 수익은 애플이 90%나 더 많으니까요.
단지 삼성은 공짜폰과 저가폰으로 점유율만 늘려놓은 것인데
빚 좋은 개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