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1일 월요일

'갤럭시S6는 허세만 가득' 미국의 독설, 삼성의 위기는 현재진행형

 사진 인용 : Aaron Yoo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를 내놓으면서 2015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에 강한 한 방을 날리려했던 삼성의 전략이 효과가 없었던 것일까요?

출시하기 무섭게 매진 행렬을 이어갔던 애플의 아이폰6 및 아이폰6 플러스와는 달리, 갤럭시S6 출시 이후 시장 분위기는 대체적으로 '신제품 효과'가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입니다.

번호이동 시장이 잠시 들썩이기는 했지만 신제품이 출시된 것이 맞나 싶을 정도로 시장은 잠잠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번호이동 시장이 이전보다 회복되기는 했지만 그 수준은 단통법 이전과 비교하자면 턱없이 부족하며, 아이폰6와 비교하자면 비교가 힘들 정도라는 것이죠.

국내 시장에서 다소 약세였던 아이폰이 국내 시장에서 판매 점유율 기준 30%를 넘어서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자존심 회복을 위해 내놓았던 갤럭시S6의 인기가 예상과 달라서 당혹하는 분위기입니다.

한마디로, 갤럭시S6 출시 이후 시장의 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기존과 다른 '이슈'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더이상 언론으로도 덮기 힘들만큼 잠잠한 시장 분위기를 어떻게 할 수는 없는 것이죠.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새로움이 가득했던 갤럭시S6에서 그 이상의 무언가가 없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일 것입니다. LG의 G4까지 시장에 가세했지만 여전히 시장은 잠잠하기만 합니다.

국내 대기업 두 곳에서 내놓은 최고사양, 최정점의 스마트폰 2종이 출시되었음에도 시장이 이토록 잠잠한 것은 비단 단통법의 탓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갤럭시S6는 그동안 삼성이 고집하던 제조 방식에서 탈피했으며, 그동안 안드로이드폰의 장점이라고 알려졌던 탈착식 배터리와 SD카드 지원까지 없애버릴 정도로 대대적인 변신을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잠잠하며, 그저 예쁜 갤럭시라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이에 대해서 미국의 유스위치에서는 '갤럭시S6는 허세만 가득'하다면서 독설을 하기도 했는데요.

가젯의 리뷰에서도 '논란이 될 수 있다'면서 가시 박힌 이야기를 할 정도로 갤럭시S6에 대한 위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사진 인용 : Aaron Yoo
초기 전세계 판매량은 상당히 인상적이었을지 몰라도, 그 수준도 지난번 갤럭시S5가 참패하면서 상대적이라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적화 논란에 대해서도 미국에서는 바로 잘못을 인정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어떠한 발표도 없었으며 해결에 대해서도 언급이 없는 만큼, 여전히 국내 시장을 무시하는 듯한 태도도 여전했습니다.

국내에서 문제를 제기하면 잠잠하다가도 해외에서 문제가 되면 바로 해명을 하는 이러한 태도도 국내에서의 삼성전자에 대한 불신의 원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중국 다음으로 큰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인도에서도 점유율이 6% 가까이 떨어지며 위기론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시장에서는 샤오미와 애플에까지 뒤쳐지며 5위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18%를 넘어섰던 지난해와 비교할 경우 올해 1분기는 8% 수준으로 떨어지며 중저가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도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더욱 큰 문제는 중저가 시장에서의 점유율 회복은 나날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중저가 시장에서 삼성을 고집해야 할 이유가 없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가의 가격으로 초고가 스마트폰과 맞먹는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기업들이 늘어가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로서는 가격 경쟁력에서 그들을 이길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2015년을 기점으로 점유율과 수익성을 개선하려는 삼성전자의 전략과는 달리, 글로벌 시장뿐만 아니라 안방 시장인 국내 시장에서조차 점유율 회복이 힘들어 보입니다.

올 가을에 펼쳐질 갤럭시노트5와 아이폰6s의 빅매치에서도 밀려난다면 삼성전자의 2015년 실적도 역시 빨간불이 켜질지 모릅니다.

2014년, 삼성으로서는 사상 최악의 겨울나기를 했던 떠올리기 싫은 기억을 2015년 겨울에도 되풀이하지는 않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0 개의 댓글: